서버 모니터링 서비스 가이드
작성자 : WhaTap Support
이메일 : support@whatap.io
날짜 : 2019-04-16
버전 : 1.0.2
설명 : 본 문서는 WhaTap 서버 모니터링 서비스에 대해 설명합니다.
1. 시작하기
와탭은 모니터링 서비스입니다. Public 클라우드에서 와탭 모니터링이 서비스되고 있습니다.
사용자는 와탭홈페이지 에 회원 가입후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에이전트를 설치하면 즉시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1.1. 지원 환경
와탭 모니터링 UI는 웹브라우저와 모바일 앱을 통해 사용합니다.
지원 브라우저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브라우저 | 권장여부 | 지원버전 |
---|---|---|
Google Chrome |
O |
58 이상 |
Mozilla FireFox |
O |
52 이상 |
Edge |
X |
38.14393 이상 |
Safari |
X |
Untested |
브라우저 호환성과 성능을 이유로 Chrome, Firefox 최신버전 사용을 권장 합니다. UI는 HTML5 표준기술로 구현되어 Internet Explorer 지원하지 않습니다. |
모바일 앱은 앱스토어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1.2. 회원 가입
-
http://www.whatap.io 에 접속 후
계정 생성하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
회사명, 이름, 이메일계정, 비밀번호,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회원가입을 진행합니다.
가입정보의 Email, 전화번호로 장애알람을 발송합니다. |

1.2.1. 사용자 종류와 권한

와탭 모니터링 서비스의 사용자 권한 그룹은 Super Admin(SA) / Admin / User 로 구분되며 각 그룹별 권한은 다음과 같습니다.
권한그룹 | 프로젝트 당 계정 수 | 모니터링 | 사용자 초대 | 사용자 권한 변경 | 사용자 제외 | 프로젝트 삭제 |
---|---|---|---|---|---|---|
Super Admin |
1 |
O |
O |
O |
O |
O |
Admin |
제한 없음 |
O |
O |
O |
O |
X |
User |
제한 없음 |
O |
X |
X |
X |
X |
- Super Admin (Owner)
-
프로젝트 당 1개 계정, 사용자 초대, 사용자 권한 변경, 사용자 제외, 프로젝트 삭제
프로젝트를 생성한 계정에 부여되며 프로젝트 삭제를 포함한 모든 권한을 가지게 됩니다. 프로젝트에 다른 사용자를 초대하거나 권한을 부여하고 프로젝트에서 사용자를 제외할 수 있습니다. - 사용자 초대는 Admin, User 권한으로 초대할 수 있습니다. - 권한 변경 시 Super Admin 권한으로의 변경은 제한되어 있습니다. - Super Admin 이외 사용자를 프로젝트에서 제외할 수 있습니다. - 다른 사용자에게 Super Admin 권한을 위임할 수 있습니다.
- Admin
-
계정 수 제한 없음, 사용자 초대, 사용자 권한 변경, 사용자 제외
프로젝트에 다른 사용자를 초대하거나 권한을 부여하고 프로젝트에서 사용자를 제외할 수 있습니다. - 사용자를 초대하고 Admin 또는 User 권한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 Admin에서 Super Admin 권한으로의 변경은 제한되어 있습니다. - Super Admin 계정과 본인 계정을 제외한 사용자를 제외할 수 있습니다.
- User
-
계정 수 제한 없음
모니터링 전용의 계정으로, 프로젝트 관리 및 사용자 관리 권한이 부여되지 않습니다.
1.3. 프로젝트 생성
모니터링 에이전트 등록을 위해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
해당하는 플랫폼, 프로젝트 이름과 데이터 서버 지역, 타임 존, 프로젝트 그룹을 선택한 후 저장 버튼을 누릅니다.

이후, 생성된 프로젝트를 선택하여 화면 안내를 확인합니다.
1.3.1. 멀티리전의 이해
와탭은 데이터 수집 리전을 여러곳에 두고 서비스를 합니다. 하나의 수집리전은 다수의 수집서버가 ScaleOut 되는 구성입니다.
모니터링 할 시스템 위치에 따라 가까운 곳의 리전을 선택할 수있습니다.

2020년 4월 기준 "Seoul", "Tokyo", "Singapore", "Mumbai", "California", "Frankfurt" 6개 지역에서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서울 지역은 Public 으로 AWS, Azure 리전과 Private인 NHN Toast, NaverCloud 리전에서 서비스 하고 있습니다.

1.5. 유료 전환
체험 기간 종료 후 서비스를 계속 이용하고자 한다면 결제 정보를 등록하고 유료 전환해야 합니다.
결제는 카드 정기결제, 세금계산서 발행 두 가지 중 선택할 수 있습니다.
1.5.1. 결제정보 등록
신용카드정보 등록
사전 준비사항
-
결제 등록할 신용카드
-
그룹 소유권자 또는 프로젝트 소유권자 계정으로 로그인
그룹 소유권자 또는 프로젝트 소유권자 계정으로 로그인 후 왼쪽 메뉴 하단의 이용 내역을 선택 합니다.

이용 내역 아래 결제 정보 메뉴를 선택합니다.
그림과 같이 신용카드를 선택후 등록할 카드 정보를 입력합니다.Q


-
개인 카드인 경우 개인 선택, 주민등록번호 입력
-
기명 법인카드를 포함한 법인 카드인 경우 법인 선택, 사업자등록번호 입력

결제 계정정보를 입력합니다.
-
청구서를 수신할 회사내 대표 담당자 정보를 입력합니다.
-
함께 청구서를 수신할 담당자가 있다면 청구서 참조 수신메일에 추가 합니다.
전월 사용량 청구서는 익월 5일 이내 발송됩니다. 결제는 25일에 진행됩니다.
세금계산서 발행 정보 등록
사전 준비사항
-
사업자등록증
-
그룹 소유권자 또는 프로젝트 소유권자 계정으로 로그인
그룹 소유권자 또는 프로젝트 소유권자 계정으로 로그인 후 왼쪽 메뉴 하단의 이용 내역을 선택합니다.

이용 내역 아래 결제 정보 메뉴를 선택합니다.
계산서발행을 선택후 정발행/역발행 중 하나를 선택합니다. 정발행인 경우 회사 정보와 계산서 발행일을 선택합니다.
결제 계정정보를 입력합니다.
-
청구서를 수신할 회사내 대표 담당자 정보를 입력합니다.
-
함께 청구서를 수신할 담당자가 있다면 청구서 참조 수신메일에 추가합니다.
세금계산서 발행일을 선택합니다.
-
25일: 사용월 25일
-
말일: 사용월 마지막 날짜
-
청구서 발행 당일: 사용월 기준 익월 초 영업일 3일 이내

전월 사용량 청구서는 익월 5일 이내 발송되며, 선택하신 계산서 발행일로 작성됩니다. 결제는 25일까지 해주시면 됩니다.
1.5.2. 프로젝트 유료전환
결제정보가 등록되었다면 프로젝트를 유료 전환할 수 있습니다.
이용내역 - 프로젝트 유료전환 메뉴로 이동해 상태를 변경합니다.
유상 전환된 프로젝트는 상태가 "유료 전환"으로 변경되며 유상전환일이 등록됩니다.
프로젝트명 우측 '구매 이력' 버튼을 클릭하면 현재까지 구매 내역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월간 예상비용은 할인/프로모션 내역이 적용되지 않은 예상비용입니다. 프로모션 고객은 "청구서 미리보기" 메뉴에서 예상 비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1.5.3. 청구 및 지불현황
납부이력, 미납금 및 청구 내역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이용내역 - 청구 및 지불현황 메뉴로 이동합니다.

"상세" 버튼을 클릭하면 청구서 상세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와탭 서비스는 시간 단위로 과금됩니다. 매월 기준 시간은 해당 월의 일수 * 24시간으로 계산됩니다.
월 기준 시간 28일 : 28 * 24 = 672시간 29일 : 29 * 24 = 696시간 30일 : 30 * 24 = 720시간 31일 : 31 * 24 = 744시간

2. 설치
와탭 서버 모니터링 서비스는 다수의 서버를 프로젝트로 그룹화 하여 관리합니다.

2.1. 프로젝트 생성
와탭 콘솔의 프로젝트 그룹에서 추가 버튼을 누릅니다.

INFRA STRUCTURE 아이콘 선택 후 각 입력란에 해당하는 정보를 입력하고 전송 버튼을 눌러 프로젝트를 추가합니다.

2.2. 에이전트 설치
2.2.1. Linux
신규 생성한 서버 모니터링 프로젝트를 선택하면 에이전트 설치 화면이 나타납니다. 프로젝트 관리
| 에이전트 설치
메뉴를 통해서도 확인 가능합니다.

패키지 저장소(Repository) 추가
에이전트 설치 페이지에서 상위에 위치한 OS탭에서 서버 OS와 동일한 탭을 클릭합니다.
설치 페이지에 존재하는 “와탭 저장소(Repository)를 추가합니다.” 항목 설명에 따라 설치하고자 하는 서버에 입력합니다.
wget http://repo.whatap.io/debian/release.gpg -O -|sudo apt-key add -
wget http://repo.whatap.io/debian/whatap-repo_1.0_all.deb
sudo dpkg -i whatap-repo_1.0_all.deb
sudo apt-get update
sudo rpm --import http://repo.whatap.io/centos/release.gpg
sudo rpm -Uvh http://repo.whatap.io/centos/5/noarch/whatap-repo-1.0-1.noarch.rpm
sudo rpm --import http://repo.whatap.io/centos/release.gpg
echo "[whatap]" | sudo tee /etc/yum.repos.d/whatap.repo > /dev/null
echo "name=whatap packages for enterprise linux" | sudo tee -a /etc/yum.repos.d/whatap.repo > /dev/null
echo "baseurl=http://repo.whatap.io/centos/latest/\$basearch" | sudo tee -a /etc/yum.repos.d/whatap.repo > /dev/null
echo "enabled=1" | sudo tee -a /etc/yum.repos.d/whatap.repo > /dev/null
echo "gpgcheck=0" | sudo tee -a /etc/yum.repos.d/whatap.repo > /dev/null
sudo rpm --import http://repo.whatap.io/suse/release.gpg
echo "[whatap]" | sudo tee /etc/zypp/repos.d/whatap.repo > /dev/null
echo "name=whatap packages for enterprise linux" | sudo tee -a /etc/zypp/repos.d/whatap.repo > /dev/null
echo "baseurl=http://repo.whatap.io/suse/12/x86_64" | sudo tee -a /etc/zypp/repos.d/whatap.repo > /dev/null
echo "enabled=1" | sudo tee -a /etc/zypp/repos.d/whatap.repo > /dev/null
echo "gpgcheck=1" | sudo tee -a /etc/zypp/repos.d/whatap.repo > /dev/null
sudo zypper refresh
wget http://repo.whatap.io/freebsd/10/whatap-infra.txz
sudo rpm --import http://repo.whatap.io/centos/release.gpg
sudo rpm -Uvh http://repo.whatap.io/centos/python/5/noarch/whatap-repo-1.0-1.noarch.rpm
설치
설치 페이지에 존재하는 “서버 모니터 패키지를 설치하십시오.” 항목 설명에 따라 설치하고자 하는 서버에 입력합니다.
sudo apt-get install whatap-infra
sudo yum install whatap-infra
sudo zypper install whatap-infra
pkg install whatap-infra.txz
라이센스 등록
설치 페이지에 존재하는 “설정 스크립트를 실행하여 서버 모니터 데몬을 시작하십시오.” 밑에 있는 박스를 클릭하여 라이선스를 발급받습니다. 이후 생성되는 명령어를 copy 버튼을 눌러 복사하거나 아래의 명령어에 라이선스키와 서버 IP를 추가하여 설치하고자 하는 서버에 입력합니다.
echo "license=[발급된 라이선스키]" |sudo tee /usr/whatap/infra/conf/whatap.conf
echo "whatap.server.host=[할당된 와탭 서버 IP]" |sudo tee -a /usr/whatap/infra/conf/whatap.conf
echo "createdtime=`date +%s%N`" |sudo tee -a /usr/whatap/infra/conf/whatap.conf
sudo service whatap-infra restart
-
설치 페이지에서 발급받은 명령어에는 라이센스 키와 IP가 포함 되어 있습니다.
-
에이전트 → 수집서버로 TCP 6600 포트 접근이 가능해야 합니다. (TCP 아웃바운드)
에이전트 업데이트
설치된 에이전트를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하고자 하는 경우 아래 명령어를 실행하십시오.
sudo apt-get update
sudo apt-get install whatap-infra
sudo service whatap-infra restart
특정 버전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설치 시 버전 정보를 명시해 줍니다.
sudo apt-get install whatap-infra=<version>
sudo yum update whatap-infra
sudo service whatap-infra restart
특정 버전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설치 시 버전 정보를 명시해 줍니다.
sudo yum install whatap-infra-<version>
wget http://repo.whatap.io/freebsd/10/whatap-infra.txz
pkg install whatap-infra.txz
- NOTE
-
이전 버전으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 문의 필요
에이전트 정상 작동 확인
에이전트가 정상적으로 설치된경우 아래와 같은 로그 출력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connected 문구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 접속 실패로 방화벽 설정을 포함하여 네트워크 설정을 확인 하실 수 있다. 네트워크 설정이 반영되면 에이전트는 자동 접속됩니다.
tail -10 /var/log/syslog
...
Apr 8 16:28:08 localhost systemd[1]: Started LSB: Start whatap-infra daemon.
Apr 8 16:28:08 localhost whatap_infrad[32468]: 2019/04/08 16:28:08 Config file : /usr/whatap/infra/conf/whatap.conf
Apr 8 16:28:08 localhost whatap_infrad[32468]: 2019/04/08 16:28:08 OID: 1193741647 ONAME: localhost
Apr 8 16:28:08 localhost whatap_infrad[32468]: 2019/04/08 16:28:08 connected to {whatap ip}:{whatap port}
tail -10 /var/log/messages
...
Apr 8 16:28:08 localhost systemd[1]: Started LSB: Start whatap-infra daemon.
Apr 8 16:28:08 localhost whatap_infrad[32468]: 2019/04/08 16:28:08 Config file : /usr/whatap/infra/conf/whatap.conf
Apr 8 16:28:08 localhost whatap_infrad[32468]: 2019/04/08 16:28:08 OID: 1193741647 ONAME: localhost
Apr 8 16:28:08 localhost whatap_infrad[32468]: 2019/04/08 16:28:08 connected to {whatap ip}:{whatap port}
2.2.2. Windows
새롭게 생성한 서버 모니터링 프로젝트를 클릭하여 아래와 같은 에이전트 설치 화면에 진입합니다.
-
해당 화면은 프로젝트 관리 → 에이전트 설치 부분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에이전트 파일 다운로드
에이전트 설치 페이지 상단에 위치한 OS 탭에서 Windows를 클릭합니다. 이후 Whatap_infra.exe 를 클릭하여 설치파일을 다운로드 합니다.
-
보안상 .exe 형식의 파일이 받아지지 않는 사용자를 위하여 .zip 형식의 파일도 제공됩니다.
-
보안을 위해 브라우저를 통한 직접 설치보단 다운로드 받은 파일 실행을 권장합니다.
2.3. 확장팩 설정
정상적으로 설치 완료 후 확장팩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설정파일을 생성하고 에이전트를 재시작하실 수 있습니다.
2.3.2. 웹 URL 성능 체크
와탭 인프라 에이전트가 주어진 웹 주소로 접속하여 접속여부 및 응답시간을 수집 합니다.
URL 모니터링 서비스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
아래 명령으로 체크할 웹주소를 추가 하실 수 있습니다.
sudo echo "체크할 웹 주소" | sudo tee -a /usr/whatap/infra/conf/webcheck.conf
sudo service whatap-infra restart
Add-Content -Path "C:\Program Files\WhatapInfra\webcheck.conf" -Value "체크할 웹 주소"
Restart-Service "Whatap Infra"
2.3.3. Redis 서버 목록
와탭 인프라 에이전트가 주어진 Redis 주소로 접속하여 연결 개수를 포함한 복수개의 성능지수를 수집 합니다.
아래 명령으로 체크할 Redis 서버의 접속 정보를 추가 하실 수 있습니다.
sudo echo "addr=Redis 주소:포트" | sudo tee /usr/whatap/infra/conf/redis.conf
sudo echo "password=Redis 패스워드" | sudo tee -a /usr/whatap/infra/conf/redis.conf
sudo service whatap-infra restart
Add-Content -Path "C:\Program Files\WhatapInfra\redis.conf" -Value "addr=Redis 주소:포트"
Add-Content -Path "C:\Program Files\WhatapInfra\redis.conf" -Value "password=Redis 패스워드"
Restart-Service "Whatap Infra"
2.3.4. Memcached 서버 목록
와탭 인프라 에이전트가 주어진 Memcached 주소로 접속하여 연결 개수를 포함한 복수개의 성능지수를 수집 합니다.
아래 명령으로 체크할 Memcached 서버의 접속 정보를 추가 하실 수 있습니다.
sudo echo "addr=Memcached 주소:포트" | sudo tee /usr/whatap/infra/conf/memcached.conf
sudo echo "password=Memcached 패스워드" | sudo tee -a /usr/whatap/infra/conf/memcached.conf
sudo service whatap-infra restart
Add-Content -Path "C:\Program Files\WhatapInfra\memcached.conf" -Value "addr=Memcached 주소"
Add-Content -Path "C:\Program Files\WhatapInfra\memcached.conf" -Value "password=Memcached 패스워드"
Restart-Service "Whatap Infra"
3. 리소스보드
리소스 보드에서 하나의 프로젝트에 등록된 모든 서버들을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내 모든 서버들의 요약 정보와 실시간 자원 사용량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CPU Resource Map 맵을 제공합니다. 전체 자원의 규모, CPU, 메모리, 프로세스의 사용률 Top 5를 보여줍니다. 리소스 보드를 통해 장애 상황을 즉시 인지하고 대응할 수 있습니다.

3.1. 인포 패널
프로젝트에 등록된 전체 서버들에 대한 요약 지표들을 제공합니다. 10초 단위로 갱신 됩니다.

- Servers
-
전체 서버 수. 전체 서버 수 중 문제가 있는 서버의 수를 함께 제공합니다.
예외 상태: 심각/경고/unknown
정상 서버: normal/pause
영역을 선택하면 서버 리스트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Total Cores
-
전체 서버들의 코어(vCPU) 합
- Avg CPU
-
전체 서버들의 CPU평균 사용량(%)
아래 게이지는 평균값/최대값/최소값을 나타냅니다. - Avg Memory
-
전체 서버들의 메모리 평균 사용량(%).
아래 게이지는 평균값/최대값/최소값을 나타냅니다. - Avg Disk
-
전체 서버들의 디스크 디바이스들의 평균 사용량(%). 아래 게이지는 평균값/최대값/최소값을 나타냅니다.
- OS
-
프로젝트 내 linux와 windows 운영체제 수.
3.2. CPU Resource Map
전체 서버들의 CPU 사용량을 나타내는 분포도입니다. 10분 동안의 데이터를 보여주고 10초 주기로 갱신됩니다.
셀 색상의 진하기는 해당 영역에 서버들의 자원사용량이 많이 분포되어 있음을 의미합니다.

셀 영역을 드래그 하면 상세 정보를 제공합니다.

-
서버목록은 범위에서 수집된 데이터의 최대값을 기준으로 정렬됩니다.
-
기본 5개의 서버가 선택되어 있으며 선택된 서버들의 사용량 추이를 멀티 라인차트로 제공한다.
-
새로고침 버튼을 수동으로 현재시점의 데이터로 갱신이 가능하다. (멀티라인 차트: 한차트에 라인 여러개가 보여지는 차트)
3.3. 리소스 이퀄라이저
CPU, Memory, Disk I/O, Disk IOPS의 항목에 대해 상위 5개의 서버 목록을 실시간으로 보여줍니다.
Disk I/O (%) 지표는 5초 동안의 디스크 사용률을 보여줍니다.
Disk I/O (%)가 80%를 넘으면 시스템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기본 경고 값은 90%입니다.
Disk I/O (%)가 100% 라면 디스크가 쉬지 않고 일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이퀄라이저 차트 영역을 선택하면 대상 서버 상세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버튼을 선택하면 전체 서버에 대한 실시간 사용량을 볼 수 있습니다.

4. 대시보드
4.1. 컴파운드 아이
컴파운드 아이는 사용자들에게 와탭 에이전트가 설치된 모든 서버들을 빈틈없이 볼 수 있게 해줍니다.


하나의 눈(Eye) 입니다. 총 5가지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
CPU 사용량
-
Memory 사용량
-
Disk 사용량
-
네트워크의 Rx (수신량)
-
네트워크의 Tx (송신량)
-
특히 네트워크 Rx/Tx 사용량 지표를 표현함으로 DDoS와 같은 외부 공격이 여러 서버에서 일제히 발생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서버에 이상 현상이 발생한 경우 개별 아이(Eye, 눈)는 색상으로 그 상태를 표현합니다.
-
서버 모니터링이 일시정지 된 상태입니다. 회색으로 표현됩니다.
-
서버가 경고 상태입니다. 주황색으로 표현됩니다.
-
서버가 위험 상태입니다. 빨간색으로 표현됩니다.
추가적으로 서버 위에 마우스를 위치하게 될 경우 개별 정보가 수치화 된 팝업 메시지가 뜨게 되며, 서버 클릭 시 해당 서버의 요약 페이지로 이동하게 되어 서버에 대한 더욱 자세한 내용들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5. 서버 목록
수집 서버의 전체 현황을 나타내며 서버 관리기능 및 서버 간 비교기능을 제공합니다.

5.1. 서버 상태

수집 서버의 상태별 현황을 나타냅니다. 상태는 1분 간격으로 갱신합니다.
-
비활성 : 에이전트가 해당 서버의 데이터 수집이 불가한 상태입니다.
-
위험 : 수집 서버에서 위험 이벤트가 발생한 상태입니다.
-
경고 : 수집 서버에서 경고 이벤트가 발생한 상태입니다.
-
정상 : 에이전트가 수집 서버에서 정상적으로 작동 중인 상태입니다.
-
일시정지 : 에이전트에서 데이터 수집을 일시적으로 중지한 상태입니다.
5.2. 데이터 갱신

서버 목록 페이지의 데이터는 60초 마다 자동으로 갱신합니다. 사용자는 일시정지 버튼을 클릭하여 데이터의 자동 갱신을 중지하거나 재생 버튼을 클릭하여 자동 갱신 재시작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를 조회한 시간을 나타내며 새로고침 버튼을 클릭하여 현재 시간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습니다.
5.3. 서버 현황
에이전트가 할당된 전체 서버의 현황을 나타냅니다.

5.3.1. 칼럼 선택
테이블에 표시할 칼럼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 NOTE
-
선택한 칼럼은 브라우저 쿠키값으로 저장되어 페이지 새로고침 후에도 상태가 유지됩니다. 쿠키 삭제 또는 기타 이유로 설정 간 오류가 발생하면 전체 선택 상태로 초기화합니다.
5.3.2. 필터
필터는 태그를 통해 서버를 필터링 하는 기능입니다
태그는 에이전트 설치시 자동으로 부여되며 사용자 입력값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태그를 통해 수집 서버를 식별하거나 태그를 선택하여 서버 현황을 필터링하는데 사용합니다.



태그를 선택하여 서버 현황을 필터링합니다.

'태그입력’를 클릭하여 새로운 태그 생성 기능을 활성화합니다.
5.3.3. 서버 관리
에이전트 명령을 통해 서버를 관리하는 기능입니다.
-
일시정지 : 해당 에이전트의 데이터 수집을 일시 중지합니다. 선택시 서버 목록에서 일시중지 상태로 표시됩니다.
-
재시작 : 에이전트를 재시작합니다.
-
해지하기 : 에이전트의 작동을 중지합니다. 선택시 서버 목록에서 제외되며 서버 현황을 확인할 수 없습니다.

5.3.4. 에이전트 이전
에이전트를 다른 프로젝트로 이전 할 수 있습니다.

이전 할 프로젝트를 선택합니다.


이전 할 에이전트를 체크 후 화살표를 이용해 대상 프로젝트로 이전합니다.

이후 저장버튼을 누르면 이전이 완료됩니다.
수집된 데이터는 이전되지 않으므로 과거 데이터 조회를 위해 기존 프로젝트는 당분간 삭제하지 않아야 합니다. |
5.3.6. 고급 필터 기능
디스크와 네트워크 칼럼은 디바이스별로 값을 나타냅니다. 디바이스 필터링 옵션을 설정하여 원하는 값만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



-
적용 칼럼 선택 : 필터 기능을 적용할 디스크 또는 네트워크 칼럼을 선택합니다. 복수 설정이 가능합니다.

-
옵션 선택
-
포함 : 전체 디바이스 중 입력값을 포함한 것을 표시합니다.
-
미포함 : 전체 디바이스 중 입력값을 포함하지 않은 것을 표시합니다.
-
일치함 : 전체 디바이스 중 입력값과 일치하는 것을 표시합니다.
-
일치하지 않음 : 전체 디바이스 중 입력값과 일치하는 것을 제외하여 표시합니다.
- NOTE
-
고급 필터링 설정 내용은 사용자 브라우저 쿠키값으로 저장합니다. 페이지 이동 또는 새로고침 시 설정 상태가 유지됩니다. 단, 쿠키 삭제 또는 기타 이유로 에러 발생할 시 필터링을 적용하지 않은 상태로 초기화합니다.
-
6. 이벤트
6.1. 이벤트 내역
발생한 모든 알림 내역 리스트를 볼 수 있으며, 서버명을 기준으로 검색할 수 있습니다.

이름 | 설명 |
---|---|
발생시간 |
알림 발생시간 |
위험도 |
Fatal(위험) 혹은 Warning(경고)로 표시됩니다. |
서버명 |
서버 이름 |
설명 |
알림 정책에서 설정한 값을 바탕으로 발생한 알림 설명 |
스냅샷 |
발생한 알림에 대한 CPU, Memory, Disk, Network에 대한 스냅샷 정보 |
현재상태 |
해당 알림의 현재 상태 |
처리내역 |
알림에 대한 처리내역 |
6.1.1. 알림 상세 정보
이벤트 내역을 선택하면 이벤트 발생 전후 5분간의 상세 정보로 이동합니다.

<1> 발생한 알림에 대한 위험도 입니다. <2> 알람 발생 전후 5분간의 CPU, Memory, Disk, Network 차트를 보여줍니다. 알림에 해당하는 부분의 Severity(위험도)를 표시하고 있습니다. <3> 알림에 해당하는 프로세스 정보를 상위로부터 10개를 보여주고 있으며, View all 링크를 클릭시 모든 프로세스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알림에 대한 처리 내역 리스트를 보여줍니다. `처리내역 추가` 를 선택하면 내역을 작성하고 저장할 수 있습니다.
6.2. 이벤트 정책 설정
서버 및 프로세스 알림 정책을 생성, 수정, 삭제할 수 있습니다.

이름 | 설명 |
---|---|
추가 |
해당 정책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
COPY |
다른 인프라에 해당 정책을 복사할 수 있습니다. |
이름 프로세스명 로그 규칙명 |
해당 정책의 이름을 표시합니다 |
요약 |
지정된 정책을 간략하게 보여줍니다. |
서버 대수 |
해당 정책을 사용하는 서버의 수를 표시합니다. |
6.2.2. 서버 알림 정책
특정 서버에 대한 전반적인 알림 정책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름 |
설명 |
통신 장애 알림 |
포트 접속 불가 알림 |
지정된 지속기간 동안 에이전트가 반응이 없을 경우 알림 발생 여부를 설정합니다. |
CPU Memory Swap |
CPU, Memory, SWAP 메모리 등의 사용률에 대한 알림을 설정합니다. |
Disk |
디스크 사용량과 I/O 사용량 및 Inode 사용량을 기반으로 알림을 설정합니다. |
Network |
네트워크 사용량과 관련한 알림을 설정합니다. 트래픽 양과 초당 패킷을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지속시간 |
-
주의 : 하나의 서버는 하나의 알림 정책만을 할당 받을 수 있습니다.
6.2.3. 프로세스 알림 정책
특정 프로세스에 대한 알림 정책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1> 프로세스명: 선택한 프로세스명이 표기됩니다. <2> Enable as Project-Wide: 해당 프로젝트에 있는 모든 서버들에 해당 알람 정책을 적용합니다. <3> Count: 해당 프로세스의 개수 증감에 대하여 알림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좌측의 경우 최저치 알림 / 우측의 경우 최대치 알림입니다. ** 프로세스가 슬라이더 좌측보다 적거나 많다면 알림이 발생합니다. <4> CPU: CPU 사용량에 따라 알림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5> Memory: 메모리 사용량에 따라 알림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6> 알림 정책 적용: 해당 프로세스에 대한 알림을 단일 서버가 아닌 다중 서버에 대한 정책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7> 임계값 지속 시간: 해당 설정된 임계값의 지속시간 이후 서버 상태가 Warning 혹은 Fatal로 변경됩니다.
6.2.4. 로그 정책
로그 정책은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하는 여러 로그들의 감시 설정을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습니다.

<1> 해당 정책의 이름을 지정합니다. <2> 새로운 규칙을 생성합니다. <3> 지정된 규칙을 삭제합니다. <4> 삭제하거나 적용될 규칙을 선택합니다. <5> 적용될 서버를 선택합니다. <6> 특정 로그가 발생될때 서버상에서 자동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지정할수 있습니다.

파일 로그
파일 로그를 감시하기 위해 파일 경로, 키워드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
파일 경로: 감시할 파일의 경로
-
키워드: 해당 파일의 로그에서 해당 키워드가 발생시 알림을 발생시킵니다.
-
위험도: 알림이 발생하였을 때 위험도를 지정합니다.
파일 로그 처리량은 로그 과다 발생시 와탭 서버 모니터링 에이전트 CPU 과다 사용 방지를 위해 로그 라인 기준으로 아래와 같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 버젼 1.3.6 이하 : 약 2초당 60 라인 초과량은 미처리 * 버젼 1.3.7 이상 : 약 2초당 1000 라인 초과량은 미처리
2초당 초과량의 조절은 아래 옵션으로 조절 하실 수 있습니다. * 윈도우 C:\Program Files\WhatapInfra\whatap.conf 파일에 log.skip.threshold=2초당 처리 가능 라인수 * 리눅스 /usr/whatap/infra/conf/whatap.conf 파일에 log.skip.threshold=2초당 처리 가능 라인수
6.3. 이벤트 수신 설정
이벤트 수신 설정은 경고 알림 | 알림 수신 설정
메뉴에서 할 수 있습니다.

6.3.1. 사용자별 알람 수신 설정
원하는 알람 수단에 체크하면 이벤트 알람을 받을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최고관리자를 제외한 모든 사용자는 자신의 수신 설정만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SMS 알람은 유료사용자에 한해 제공됩니다.
- 수신레벨
-
경고/위험 수준 모두 또는 위험 수준의 알람만을 수신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요일 / 시간
-
알림 수신을 요일별 / 시간별 수신 여부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 Escalation (알림 확대)
-
알림이 해소되지 않았다면 같은 알림을 반복 발송합니다.
문제가 해소되지 않아도 알림 상세 정보에서 `처리내역 추가`로 Comment를 작성하면 반복 발송되지 않습니다.
기능 사용을 원치 않는 경우 Escalation 내 설정값을 삭제해 주시면 됩니다.
7. 보고서
대기업, 공공기관 및 IT 서비스 기업에서 사용하는 보고서 양식에 맞춰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보고서 기능을 활용하면 분석
메뉴를 이동하며 워드/엑셀로 데이터를 재가공 하는 일, 반복적인 점검 업무를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보고서 종류는 상시 업데이트됩니다. 원하는 양식의 보고서가 있다면 support@whatap.io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